

난방에너지 성능분석을 위해 기준모델을 선정하기 위한 내용입니다.
기준모델은 2011년 2월부터 시행한 지역별 건축물 부위별 단열규정을 만족합니다.
| 설정항목 | 설정기준 |
|---|---|
| 실내설정온도(℃) | 20℃ |
| 평면 및 바닥면적(㎡) | 신청주택과 동일 |
| 층고 및 천정고(m) | 신청주택과 동일 |
| 지하층의 면적 및 유무 | 신청주택과 동일 |
| 벽체의 열관류율(W/㎡K) | 현재 건축법의 지역별 열관류율 |
| 지붕의 열관류율(W/㎡K) | 현재 건축법의 지역별 열관류율 |
| 바닥의 열관류율(W/㎡K) | 현재 건축법의 지역별 열관류율 |
| 창호의 열관류율(W/㎡K) | 현재 건축법의 지역별 열관류율 |
| 창면적(㎡) | 외벽대비 동:10%, 서:10%, 남:35%, 북:15% |
| 일사취득율 | 0.7 |
| 일사량(W/㎡) | 지역에 따른 8방위 수직벽의 시간당일사량 |
| 외기온도(℃) | 12개지역의 시간별 외기온도 |
| 현관문의 크기 및 종류 | 210㎡ 크기의 유리문(단창문) |
| 현관문의 단열성능(W/㎡K) | 4.00 W/K(문틀:금속재, 유리비율:50%미만) |
| 참기량(회/h) | 0.5/h |
| 기기 및 조명 에너지발열량(W/㎡K) | 난방시 전기에너지, 조명에너지 발열량 반영 |
| 인체발열량(W/㎡K) | 인체발열량 참고 |
| 에너지 및 보일러의 종류 | 신청주택과 동일 |
| 보일러의 효율(%) | 80% |